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
청년발현 시즌 2, 10부작
1. 청년은 누구인가, 다시 묻다.
2. 청년 정책, 방향을 전환하라.
3. 수도권 블랙홀과 지역 청년의 이탈
4.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
5. 공간이 관계가 될 때
6. 청년 일의 재구성
7. 청년 커뮤니티는 정치다.
8. 청년이 만드는 복지
9. 협동조합, 청년을 묻다.
10. 청년발현, 다음의 서사를 위하여
“전에도, 지금도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아요." 한 청년의 말은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수많은 목소리를 대변한다. 청년을 위한 정책은 해마다 늘어나지만, 이상하리만치 '해당이 안 된다'는 청년은 여전히 많다.
1. 사각지대를 만드는 청년 설계의 방식
정책은 대상을 설정하는 순간, 동시에 배제의 경계를 만든다. 특히 청년정책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라는 나이 기준에 따라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실 속 청년들은 훨씬 더 복합적인 삶의 조건에 놓여 있다. 고졸로 일찍 사회에 진입한 청년, 자립준비청년, 느린학습자, 경계선 발달장애를 가진 청년, 돌봄을 맡고 있는 가족청년 등은 기존 정책 범주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다.
제도 설계는 선의로 시작되지만, 그 선의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작동할 때 비가시화된 존재들을 지워버린다. '정책에서 소외된다는 감각'은 단순히 정보의 부재가 아니라, '국가가 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인식으로 이어지며 청년의 자기효능감과 신회를 해친다.
2. 정책 접근의 장벽을 넘지 못하는 이들
정책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청년도 많지만, 알더라도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정보의 복잡성, 절차의 까다라움, 디지털 절차, 신분증명 요건 등은 특히 사회적 자원이 부족한 청년에게는 높은 장벽이다. 예를 들어 보호종료 청년은 주소지가 불안정해 공공임대나 금융 지원에서 배제되기 쉽고, 장애인 청년은 비장애인 중심의 일자리 정책에서 기회조차 받지 못한다.
청년센터가 지역마다 생기고 있지만, 그 이용률은 편차가 크다. 자신의 삶을 설명하기 어려운 청년일수록 공적 공간을 두려워하고, 신청이라는 절차 자체에 거리감을 느낀다. '누가 정책을 이용할 수 있는가'는 곧 '누가 사회적 언어를 갖고 있는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3. 경계를 넘는 정책, 언어를 바꾸는 접근
이제 청년정책은 경계를 나누는 정책이 아니라 경계를 허무는 정책이 되어야 한다. 첫째, 정책 설계 시 청년 당사자의 다양성을 전제로 한 다층적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행정이 기준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청년이 문제를 진단하고 정의하는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예컨대 경상남도는 은둔형 청년과 보호종료 청년을 별도 대상으로 식별하고 장학금/자립지원/심리상담 등을 결합한 맞춤형 지원을 시작했다. 창원시의 '청년 쾌유 프로젝트'는 골립된 청년을 찾아가 생활 동반자처럼 연결하고 활동을 함께 설계해 나가는 접근을 시도했다.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책 대상자'가 아니라 '함께 살아갈 사람'으로 청년을 대하는 시선이다. 제도 밖의 청년은 실패한 청년이 아니라 제도가 아직 도달하지 못한 시민이다.
제언: 사각지대 없는 정책을 위하여
- 정책 설계 시 삶의 조건별 청년군에 대한 실태조사와 정의 재구성을 필요합니다.
- 기준을 행정이 정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구조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 정보접근권, 디지털리터러시, 절차의 접근성 등 정책 참여의 기술적 장벽을 낮춰야 합니다.
- '정책 이용'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 맺기'로 접근할 수 있는 청년지원공간이 확대되어야 합니다.
👉 다음 화에서는 '공간이 관계가 될 때'를 주제로, 청년의 삶터와 커뮤니티가 어떻게 정책과 만나야 하는지를 이야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