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단순하고 간략히_성과측정 프레임워크(3E) 알아보기

  • 새로운시선
  • 성과측정
  • 3E
  • 단순하고간략히

성과측정을 위한 프레임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는 로직모델을 비롯하여 BSC(균형성과표), 성과측정 프레임워크(3E), 비용-편익 분석,

질적 성과 분석, 사회적 투자수익률(SROI)  등이다. 이중에서 로직모델은 사회복지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레임이다. 로직모델은 투입 → 활동 → 산출 → 단기성과 → 중기성과 → 장기성과 순으로

구성된다. 모금회 사업계획서가 이 로직모델에 기반한 것은 이미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알고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BSC(균형성과표)는 우리 업계에서는 흔히 사용하지는 않는다. 주로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어진다.

필자가 오래전 근무했던 기업에서도 BSC(균형성과표)에 근거하여 성과측정을 하기도 했다.

사회적 가치 측정이 활발히 논의되면서 사회적 투자수익률(SROI)도 관심이 많은 성과측정 프레임이다. 


이런 다양한 성과측정 프레임 중에서 필자는 성과측정 프레임워크(3E)의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3E는 조직이나 프로그램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3E는 Economy(경제성), Efficiency(효율성),

Effectiveness(효과성)의 약자이다. 경제성, 효율성, 효과성은 이미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번 기고에서는 성과측정 프레임워크(3E)를 다루고자 한다. 



#경제성(Economy)_비용 아끼기

- 경제성을 쉽게 정의하면, 필요한 자원을 최소의 비용으로 획득하는 것이다.  경제성을 

핵심 질문으로 표현하면 "필요한 것을 가장 저렴하게 구했나요?"라고 말할 수 있다. 


#효율성 (Efficiency)_잘 하기

- 효율성의 정의는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의 산출을 얻는 것이다. 이를 핵심 질문으로 

표현하면 "투입한 자원으로 최대한의 결과를 얻었나요?" 라고 말할 수 있다. 


#효과성(Effectiveness)_목표 이루기

- 효과성은 의도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효과성 도출을 위한 

핵심 질문은 "우리가 원하는 변화를 만들어냈나요?" 이다. 


# 성과측정 프레임워크(3E) 예시

성과측정  프레임워크(3E)를 복지사업의 형태로 제시해보자. 


1. 사업명 : 노인 복지 센터의 '건강한 노년 프로그램'

2. 사업내용: 

지역 노인 복지 센터에서 65세 이상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건강한 노년 프로그램'을 운영, 

이 프로그램은 식사 지원, 운동 교실, 건강 검진을 포함

3. 프로그램 목표:

1) 참가자 1인당 월 비용 10만원 이내로 운영

2) 직원 1명이 20명 이상의 노인을 담당

3) 참가 노인의 80% 이상이 건강 상태 개선

4. 3E

1) 경제성 (Economy) 평가:

   - 지표: 참가자 1인당 월 프로그램 운영 비용

   - 목표: 10만원 이하

   - 실제: 95,000원

   - 계산: (목표 비용 / 실제 비용) × 100 = (100,000원 / 95,000원) × 100 = 105.3%

   - 결과: 목표 달성 (105.3% > 100%)

2) 효율성 (Efficiency) 평가:

   - 지표: 직원 1명당 담당 노인 수

   - 목표: 20명 이상

   - 실제: 22명

   - 계산: (실제 담당 인원 / 목표 인원) × 100 = (22명 / 20명) × 100 = 110%

   - 결과: 목표 달성 (110% > 100%)

3) 효과성 (Effectiveness) 평가:

   - 지표: 건강 상태가 개선된 노인의 비율

   - 목표: 80% 이상

   - 실제: 85명의 건강 상태 개선

   - 계산: (건강 개선 노인 수 / 전체 참가 노인 수) × 100 = (85명 / 100명) × 100 = 85%

   - 결과: 목표 달성 (85% > 80%)

4) 종합 평가:

- 경제성: 105.3% (목표 초과 달성)

- 효율성: 110% (목표 초과 달성)

- 효과성: 85% (목표 달성)


결론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3E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면, 첫째, 경제성은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계획보다 적은 비용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용 절감이 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지지 않았는지 확인

은 필요하다. 둘째, 효율성이다. 이는 직원들이 목표보다 더 많은 노인들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좋은 성과이지만,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과도하지 않은지 점검해야 한다.

셋째, 효과성은 목표했던 것보다 더 많은 노인들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의도한 목적을 잘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사례를 통해 3E 프레임워크가 어떻게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 볼 수 있다. 경제성, 효율성, 효과성을 균형 있게 고려함으로써,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더 나은 서비스 제공과 사회복지 목표 달성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