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청년발현] 지방 청년들의 일자리 매칭

  • 청년발현
  • 지역일자리
  • 지방
  • 강기훈

'제가 서울에 태어나지 않은 게 죄는 아니잖아요?'


'지역'이 하나의 계급과 같이 작동하는 사회다. 어디서 태어났고 어디서 거주하는지에 따라 사회서비스와 경제활동의 차이가 크다.

일할 권리는 있으나 일하지 못하거나 안하는 청년이 늘어가고 수도권에 편중된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고 있다.


첫 직장이 열악하더라도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면 지역에서 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일자리의 상향 이동이 어려워짐에 따라 첫 취업의 부담이 커지고

청년은 일자리가 없다하며, 지역의 중소기업은 일할 청년이 없다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었던 우수 정책 사례가 있어 공유한다.

바로 행정안전부에서 추진 중인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이다.


지역 현장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지자체에서 행정안전부로 제안할 수 있고

지자체에서 참여 기업을 모집해 청년과 매칭하는 형태로 추진된다.


'18~'21, 4년 간 1단계 추진 했던 결과, 총 11만 7천 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목표치인 8만 8천명 대비 133%를 달성했고 청년들의 만족도 또한 97.1%로 높았다.

그 이유는 일자리를 위해 수도권으로 떠날 필요 없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일자리와 안정적인 임금을 지원 받으며, 역량 강화까지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22~'24, 2단계 사업기간으로서 7만 8천 명 이상의 창출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나의 사례로, 공직자가 많음과 동시에 공공 일자리가 비율적으로 많은 세종시에서도

해당 사업으로 사회복지, 사회적경제, 소셜벤처 등의 분야 일자리가 창출 되어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일한 후 지속 고용, 지역 내 이직 등으로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지역에서 할 수 있었고 이는 현재의 청년생태계에 큰 기반이 되기도 했다.


일자리 미스 매칭의 가장 큰 이유는 공급자 시선에서의 제공이기 때문이다.

지역의 현황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지자체 혹은 지역 내 기관들이 유망 분야를 설정하고

해당 분야로의 일자리 매칭은 참여 청년 뿐 아닌 기업 대상 효능감 또한 증진 된다.


해당 사업이 보다 강화 되어 각 지역별 특화 산업과 청년 일자리가 활성화 될수록

청년들이 지역에서 삶을 영위하고 그에 따라 다음 생애주기별 선택 또한 지역에서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즉, 일자리가 최소한의 복지이자 청년 유출 해결의 핵심이다.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