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반려동물과 안전하게 설 연휴보내기

  • 복지속동물
  • 인간동물유대

음력으로 2025년 새해가 다가옵니다. 올해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올 설 명절은 최장 9일간의 황금연휴가 될 전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반려동물과 함께 긴 명절 연휴를 잘 보내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정보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분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무하는 기관을 이용하는 분들이나 주변 지인들에게도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과 함께 이동해야 할 상황에 대한 대안을 공유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이나 외출이 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경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우선, 연휴 전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긴 명절 연휴 동안 반려동물을 잘 돌보기 위해서는 사전에 철저한 준비와 세심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먼저 연휴가 시작되기 전에 반려동물이 필요로 하는 모든 물품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료, 간식, 배변 패드, 약품 등은 연휴 기간 구매가 어려울 수 있으니 충분한 양을 확보해야 합니다. 특히 반려동물이 특정 사료나 간식을 먹는 경우라면, 연휴 전에 미리 확인하여 부족함이 없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연휴 동안 문을 여는 동물병원과 응급 클리닉의 정보를 미리 알아두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근처에서 이용 가능한 병원을 확인하고 연락처를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명절 동안에는 반려동물의 일상적인 루틴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평소와 같은 시간에 밥을 주고 산책을 하는 등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낯선 환경에서라도 이러한 일상적인 활동을 유지하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명절에는 가족들이 모이거나 폭죽 소리, 차량 이동 등으로 소음이 많아질 수 있는데, 반려동물이 소음에 예민하다면 조용한 방을 제공하거나 반려동물이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주어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이나 손님이 많이 모일 때에는 반려동물이 낯선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반려동물이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지나친 접촉을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개물림 사고는 가정 등 실내공간에서 반려인의 지인에게 일어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취약합니다.)

또한, 명절 음식은 기름지고 양념이 강한 경우가 많아 반려동물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이런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가족들에게도 주의를 당부해야 합니다.

 

셋째. 반려동물을 두고 (해외) 여행을 계획 중이신가요? 무엇보다도 믿을 수 있고, 반려동물이 편하게 지낼 수 있는 반려동물 호텔이나 돌봄 서비스를 사전에 예약해야 합니다. 단순하게 인터넷 검색이나 홍보자료에만 의지해서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기존 이용자의 평가나 경험을 반드시 참조하고, 가능하다면 직접 가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맡겨진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도 많이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맡길 곳을 신중하게 결정한 다음에는 (반려동물이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좋아하는 침대, 담요, 장난감 등을 챙겨가서 새로운 환경에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집에서 반려동물을 지내도록 하고 싶으시다면, 믿을 수 있는 펫시터를 고용해 반려동물이 익숙한 환경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경우, 반려동물의 성향과 필요를 펫시터와 미리 충분히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집에 CCTV를 설치하면 외출 중에도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안심할 수 있습니다. 펫시터에게 부탁하여 반려동물과 충분히 산책하거나 놀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를 소모하게 하면 혼자 있는 시간 동안 더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제가 이전 글에서 한번 소개한 바 있듯이, 최근 들어 여러 지자체에서 명절 기간 반려동물을 돌봐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긴 연휴 동안 집을 비우게 되는 반려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전문적인 돌봄을 제공하거나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등 반려동물의 편안함과 복지를 우선시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서비스 내용이나 신청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필요하면 거주 지역의 관련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이용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명절을 더욱 안심하고 편안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넷째, 명절 동안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차량 이동 시 반려동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동 중에는 이동장이나 카시트 전용 하네스를 사용하여 반려동물이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중간에 휴게소에서 물을 주거나 짧은 산책을 통해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새로운 장소에 도착했을 때는 반려동물이 낯선 환경에 적응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너무 멀리 돌아다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자차가 아닌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경우라면, 반려동물과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반려동물 전용 택시를 비롯해 기차, 버스, 지하철, 선박, 비행기 등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에서 반려동물 동반 탑승이 가능하며, 각각의 세부 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반려동물 동반 승객을 유치하려는 교통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관련 서비스와 마케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각 운송 수단별로 규정이 상이하므로, 여행을 계획하기 전에 반드시 이용하려는 교통수단 또는 해당 회사의 세부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RT 반려동물 동반 탑승 안내

https://etk.srail.kr/cms/archive.do?pageId=TK0402090000

대한항공 반려동물 동반 탑승 안내

https://www.koreanair.com/contents/plan-your-travel/special-assistance/travel-with-pets/guide

아시아나 항공 반려동물 동반 탑승 안내

https://flyasiana.com/C/KR/KO/contents/traveling-with-pets


external_image

 

연휴가 끝난 후에도 반려동물이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이는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욕이 떨어지거나 짖는 횟수가 늘어나는 등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충분히 시간을 두고 돌봐주거나 필요한 경우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긴 명절 연휴 동안 반려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편안하게 보낼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고 세심하게 배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

 

마지막으로 (그러나 가장 중요한) 설 연휴 동안 유기동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항산 반려동물의 안전을 확인하고, 유실된 경우 동물등록을 통해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외출 전에는 집의 문과 창문을 점검하고, 긴 외출 시에는 믿을 수 있는 믿을 수 있는 곳에 맡기거나 펫시터를 활용하고, 지역사회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을 공동체에서 공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와 전국 지자체는 설 연휴(1.27.~1.30.) 동안 유실 유기동물 구조를 위한 제보 및 반려동물 분실 신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125일부터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 유실 유기동물 제보와 반려동물 분실 신고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유실 유기동물을 발견하신 경우,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www.animal.go.kr)에 접속하시어 '동물 발견' 배너를 눌러 신고하시면, 해당 정보는 자동으로 지자체 구조 담당자에게 발송됩니다. 반려동물을 잃어버리신 경우에도 '동물 분실' 배너를 통해 정보를 게시하실 수 있으며, 댓글 기능을 통해 발견자와 실시간으로 정보 공유가 가능합니다. 동물등록을 완료하신 경우, 내장칩 번호로 신속히 반려동물을 반환할 수 있으므로, 연휴 전 동물등록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설 연휴 동안 운영되는 동물병원 정보는 농식품부 공식 누리집과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 125일부터 게시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별 동물병원의 명칭, 주소, 운영 날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즐거운 설 명절, 반려동물과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새해에도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