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쉽게 배우기(사전-사후 검정법)

  • 새로운시선
  • 사전사후비교
  • 윌콕슨검정
  • 프로그램평가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쉽게 배우기(사전-사후 검정법)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사전-사후 검사를 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 방법은 집단규모가 크기 않을때 유용하다. 최소인원은 5명이고, 권장인원은 약 25명이다. 

대부분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운여할 때, 이 정도의 집단규모로 진행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어떤 사람이 프로그램을 받기 전과 받은 후에 점수가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이다. 윌콕슨의 부호-순위 검정은 "비모수적 검정"이라고도 말한다. 


※비모수적 검정은 데이터가 조금 “엉성하거나”, 숫자가 적거나, 질문이 단순한 점수(1~5점)로 되어 있어도 쓸 수 있다.

사전-사후 검사를 자주 사용하는 우리 업계에 유용한 방법인 것이다. 

예를들어, 스트레스 관리 교육 전과 후 스트레스 점수 비교시 용이하다. 

정리하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은 아래 이유로 사용한다. 



#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점수가 많지 않을 때 (예: 직원이 10명 정도)

- 점수가 1점~5점처럼 간단할 때

- 같은 사람을 두 번 조사했을 때 (교육 전·후 등)

- 평균보다는 변화 '방향'이 중요할 때



#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해석방법은 무엇일까요?


1) 차이: 사후 - 사전
2) 절댓값: 부호 없이 숫자만
3) 순위: 절댓값이 클수록 높은 순위
4) 부호: 올라가면 +1, 내려가면 -1, 변화 없으면 0

5) 부호순위: 부호 × 순위

#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은? 

  • +부호순위가 더 크면 → 대부분 좋아진 것 → 교육 효과 있음!

  • 비슷하거나 -가 더 크면 → 효과가 없거나 나빠졌을 수 있음

# 어디에 쓸 수 있을까요?

  • 교육 전·후 만족도 비교

  • 프로그램 참여 전·후 태도 변화

  • 같은 대상자의 변화 추적


사회복지 프로그램 분석을 좀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은 사회복지현장에서 사용이 검정 방법이다.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