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큐레이션 By 정혜련
- 2025-04-30
- 405
- 0
- 0
공유복지플렛폼 위시에 모여있는 자료들을 주제에 맞게 골라 큐레이션합니다.
이번 주제는 '노인복지'입니다.
대한민국은 2025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인구 구조 속에서 노인복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우리 사회의 핵심 의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공유복지플랫폼 '위시'에 모인 다양한 현장 전문가들의 칼럼을
돌봄, 정신건강, 정책/제도, 공동체, 기타 등 다섯 가지 분야로 나누어
노인복지의 다채로운 현장 목소리를 담았습니다.
각 칼럼의 핵심 메시지를 한 문장으로 소개하니,
관심 가는 주제를 클릭해 원문에서 더 깊은 이야기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 관심 있는 글을 클릭하시면 원문으로 넘어갑니다*
[돌봄]
돌봄과 돌봄SOS - 노인 돌봄편(1) (허보연, 2024.07.31.)
- '고립된 독거노인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계속해서 확대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충분하다.'
돌봄과 돌봄SOS - 노인 돌봄편(2) (허보연, 2024.07.31.)
-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신체활동과 가사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제공하여 가족들의 돌봄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이다.(일부중략)'
돌봄과 돌봄SOS - 노인 돌봄편(3) (허보연, 2024.08.04.)
- '재가노인지원서비스는 욕구를 가진 지역사회 노인이 모두 대상이며 중복 서비스가 가능하고 예방적 차원의 돌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정신건강]
노인정신건강이야기 1 -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노인 정신건강의 이야기 (고지선, 2025.01.31.)
-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생각의 변화는 나와 타인을 다른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합니다.'
노인정신건강이야기2- 예견치 못한 떠나보냄을 가진 사람들 (고지선, 2025.01.31.)
- '우리가 만나는 노인들이 애도의 단계 중 어떠한 과정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에 적합한 대응들을 함께 나눠야 할 것입니다.'
노인정신건강이야기3-노인의 '이중고' 디지털 시대의 소외와 정신건강 위기 (고지선, 2025.02.27.)
- '우리 사회의 구성원 모두가 노인의 디지털 소외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인정신건강이야기 4- 노인의 분노와 무기력 - 그들만의 조용한 외침 (고지선, 2025.03.30.)
- '노인들의 분노와 무기력은 때로 마음의 경보이자, 도움을 요청하는 방식잉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정책/제도]
[이용교 복지상식] 노인은 기초연금을 신청하세요 (이용교, 2024.01.02.)
-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 기준이 인상되었다.'
[이용교 복지상식] 누구나 '긴급돌봄'을 신청할 수 있다 (이용교, 2023.12.17.)
- '그동안 취약계층에만 제공되던 긴급돌봄이 2024년부터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된다.'
[이용교 복지상식] 2024년 노인 일자리 참여자를 모집한다. (이용교, 2023.12.03.)
- '노인 일자리 사업은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공급하여 노인에게 소득창출 및 사회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이용교 복지상식] 노인장기요양서비스가 확충된다..(2023.08.25.)
- '초고령사회 대비 장기요양서비스 확충과 품질관리 계획을 담은 제3차 장기요양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용교 복지상식] 치매 어르신 실종을 예방할 수 있다 (이용교, 2022.11.03.)
- '정부는 치매 어르신 실종 예방을 위해 소형 위치추적기인 배회감지기를 확대하고, 사전에 지문을 등록하거나 어르신 인식표를 착용하는 방법을 확대한다.'
[공동체]
천개의 바람, 천개의 주민모임(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 늘봄밥상) (노수현, 2023.04.03.)
- '늘봄밥상은 이름 그대로 주민들의 자발적인 소모임이다. 늘봄밥상이 시간이 지날수록 확산하는 이유가 있다.'
읽고 쓰는 사회사업가_최우림_어르신 글쓰기 동아리 일지 소개 (김세진, 2023.04.28.)
- '최우림 선생님의 글을 읽으면 당사자를 빛나게 합니다. 언젠가 나도 최우림 선생님 글의 주인공이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합니다.'
[기타]
반려동물 노노케어(老老-Care) 문제, 그리고 사례를 통해 본 실천방안 (김성호, 2021.11.23.)
- '반려동물을 잘 돌보며 정서적,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유익한 가성비 높은 복지활동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006 10월에 다가오는 노인의 날 하지만... (고지선, 2024.09.30.)
-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이미지가 형성된 것은 대중에게 노출되는 노인학대에 대한 언론과 미디어의 강력한 메시지 때문일은 아닐까요?'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