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칼럼큐레이션17. '정신건강 복지'를 고민하는 사회복지사를 위한 위시자료 모음집

  • 칼럼큐레이션
  • 정신건강복지
  • 지역사회
  • 사회복지사

정신건강 문제는 특정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닌, 

누구나 일상 속에서 마주할 수 있는 사회적 과제가 되었습니다.


우울, 고립, 자살, 불안 등 다양한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사회 전반에 퍼지면서, 

정신건강을 돌보는 복지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큐레이션에서는 공유복지플랫폼 ‘위시’에 모인 칼럼들을 

오피니언, 지역사회, 대상별 정신건강복지, 진로라는 네 가지 키워드로 나누어 구성했습니다.


자살 예방, 지역 기반의 정신건강 서비스, 세대별 접근 방식,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까지, 

실천 현장에서 고민해볼 주제를 폭넓게 담았습니다.


각 칼럼의 핵심 메시지를 한 문장으로 정리했으니, 

관심 있는 주제를 클릭해 원문에서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관심 있는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원문으로 넘어갑니다*



[오피니언]


희망 없는 삶의 끝자락에서 보내는 신호에 반응하는 방법은 없을까? (허보연, 2025.03.31.)

- 우울과 음주는 단순한 정서적 불편이나 습관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적 연결이 끊어졌다는 신호, 삶을 포기하고 싶다는 마음의 마지막 외침일 수도 있다. 


[이용교 교수 복지상식] 자살, 질병과 부모 영향이 크다...(이용교, 2021.02.03.)

- 한국인은 왜 극단적 선택을 많이 하는가?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자살 생각이 커지며, 자살 생각은 대물림될 위험이 크다. 


#002 자살률 1위, 자살 및 정신건강을 위한 SNS 상담 준비되었나? (고진선. 2021.10.01.)

- 자살 및 정신건강을 위한 SNS 상담을 편안하게 받을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001 정신건강 사업을 복지관에서 해야되는 이유가 뭔가요? (고진선, 2024.04.22.)

-  사회적 변화와 요구는 지속 되지만 한정된 예산의 한계로 인해 기존의 정신건강 서비스 체계의 틀에서 벗어나 지역복지자원과 연계한 정신건강서비스 사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002 사회복지사 전국민 마음투자 사업은 관심 밖인가?(고진선, 2024.05.11.)

- 사회복지사들 중에서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영역에서만 일부 관심을 가졌을 뿐 일반사회복지 영역에서는 나와 상관없는 다른 이야기인 것처럼 관심이 없었던 것이 현실입니다.



[대상별 정신건강복지]


#005 청년을 위한 마음건강 지원사업은 어떤 모습이 좋을까?

-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청년이 되어 제 3자의 입장으로 한번쯤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노인정신건강이야기 1 -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노인 정신건강의 이야기 (고진선, 2025.01.31.)

- 그 전에 노인들에게서 쉽게 나타나는 생각의 변화들을 우리들은 이해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생각의 변화들은 "나"와 "타인"을 다른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합니다.


노인정신건강이야기 4- 노인의 분노와 무기력 - 그들만의 조용한 외침 (고진선, 2025.03.30.)

- 분노와 무기력은 ‘짜증’, ‘무관심’, ‘완고함’으로 표출되며, 때로는 심리적 고통이 외면된 채 오해되기도 합니다.



[진로]


#001 정신건강사회복지사를 꿈꾸고 있나요? (고진선, 2022.01.18.)

- 내가 꿈을 꾸고 있는 해당 분야에 대해 진지하게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진다면 더욱 성숙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