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과 인권 By 배영미
- 2025-07-31
- 284
- 0
- 0
도전행동 지원을 위한 좋은 실천 vs 인권 침해 딜레마
다수의 시설에서는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Challenging Behaviour, 어려운 행동) 발생시 안전을 이유로 시설서비스 접근을 거절합니다.
다만, 최중증발달장애인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사들은 도전행동이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거절하기 어렵습니다. 장애인복지실천현장에서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과 관련하여 도전적 행동 지원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도전적 행동이 발생하는 원인과 맥락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당사자 자신의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의사표현이나 전달이 되지 않을 때, 갑작스러운 환경변화 등 다양한 상황에서 도전적 행동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구체적인 예로, 중복장애를 가진 한 이용인은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자해 행동을 반복하여 여러 차례 위기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담당 사회복지사는 “이분은 자기 욕구가 해소가 안 되면 예를 들어 김치를 달라고 했는데 안준다거나 라면이나 간식을 먹고 싶은데 그것에 대한 대처를 안 해주면 자해를 합니다.” 라고 진술했습니다.
의사소통과 자기관리가 쉽지 않은 최중증장애일 수록 도전행동의 빈도와 강도 모두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사들은 도전행동과 관련된 전문지식이나 대처방안에 대해 교육훈련을 받지 못한 채 현장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일 경력에 따라 현장의 사회복지사들 중에는 도전행동에 대한 적절한 지원 노하우를 습득하게되고, 발달장애 당사자의 도전행동이 감소하고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 보람을 느끼기도 합니다.
한편, 현장에서는 개인적 역량만으로 도전행동에 대처해야 하는 데 따른 애로사항이 크다고 토로합니다.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사들은 무기력, 스트레스,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거나 소진을 경험하며, 퇴사나 이직을 고려하게 됩니다.
이를 입증하듯 박광옥 외(2023)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도전행동을 지원한 사회복지사 중 소진 경험이 있는 경우가 95.4%, 이직의사 있음이 45.6%에 달합니다.
즉, 최중증장애인의 도전행동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사 대다수가 소진을 겪고, 이중 절반 정도는 이직의사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도전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과 인권 침해 사이에서의 딜레마
이 같은 현실에서 도전행동의 원인과 맥락을 전문적으로 이해하고 지원하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자칫 신체적 개입을 하게 된다면 인권침해 이슈가 될 수도 있다는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사회복지사들은 도전행동 지원 과정에서 자신이 미숙하게 대처한 것은 아닌지 반추하게 되거나, “내가 이렇게 지원해서 또 맞으면 어떡하지?” 유사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때로는 시설 내 다른 지원인이 도전행동 후 맛있는 음식을 제공해주는 등 보상을 제공하여 도전행동이 강화되기도 합니다(최형월 & 임해영, 2025).
위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은 발달장애인 지원 업무의 강도와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도전행동으로 인해 종사자가 겪는 폭력 피해와 트라우마 또한 심각한 수준임을 토로했습니다.
이같은 이유로 도전행동에 대한 효과적 지원 의무 못지 않게 사회복지사들을 지원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신입직원을 위한 ‘도전행동 지원 교육’ 제공하기, 중간관리자를 위한 ‘도전행동 지원시 슈퍼비전 교육’ 제공하기, 도전행동 지원 후 ‘ 종사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휴게공간(휴게시간), 심리지원’ 제공하기, ‘디지털 장치 내지 안전장비’ 제공하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종사자의 안전문제 발생과 관련된 지원 매뉴얼을 구축하고, 심리·의료·법적 보호 및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국가인권위원회(2020) 발달장애학생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과 효과적 지원방안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부(2019) 최중증 성인발달장애인 낮활동사업 운영매뉴얼 직원용 설명자료.
최형월, 임해영(2025). 사회복지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장애의 재해석
경상북도 사회복지인 인권센터 홈페이지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