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참견시점 By 허보연
- 2025-08-24
- 120
- 0
- 0
얼마 전 언론에서 보도된 뉴스의 헤드라인 중 이런 기사를 보게 되었다.
“대전시가 보급한 인공지능(AI) 돌봄로봇 ‘꿈돌이’가 새벽 시간대 위기 상황에 처한 70대 독거노인의 생명을 구했다." [출처: 디지털포용뉴스(https://www.dginclusion.com)]
사연은 이렇다. 노인 돌봄 AI 인형이 한 어르신의 ‘죽고 싶어’ 라는 절망적인 한마디를 듣고 이를 위기 상황으로 인식해 관제센터에 알렸고, 곧바로 경찰이 출동해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 그동안 단순한 생활 보조 장치로만 여겨졌던 AI 돌봄 인형이 실제로 한 사람의 목숨을 살려냈다는 사실은 많은 이들에게 놀라움과 감탄을 안겨주었다. 기술이 사람의 삶을 지켜내는 순간이 현실에서 펼쳐진 것이다.
하지만 그 감동과 동시에 걱정도 따라왔다. 과연 모든 어르신이 이런 도움을 똑같이 받을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다. 여전히 스마트폰 조차 사용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많고, 기기가 있더라도 복잡한 기능에 익숙하지 않아 전화나 문자 정도만 겨우 활용하는 경우가 일상 다반사다. 결국 연결할 장치가 없다면, 아무리 훌륭한 AI 서비스라 해도 그분들에게는 그림의 떡일 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구나 세상과 이어질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아무리 기술이 발전해도 그것을 사용할 수단이 없다면 소용이 없다. 어르신들이나 혼자 지내는 분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서비스가 아무리 좋아도 그분들에게는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꼭 필요한 분들에게는 스마트 기기를 무료로 빌려주거나 보급해 주는 제도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물론 모든 분들께 단기간에 기기를 보급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렇다고 멈출 수는 없다. 현장에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함께 써서 서로의 빈틈을 채워주는 돌봄이 필요하다. 그렇게 할 때 비록 기기가 없는 분들이라도 복지의 안전망 속에서 놓이지 않고 함께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배우는 과정도 필요하다. 실제로 내가 근무했던 주민센터에서 올 초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사용법 교육을 진행했었다. 처음에는 휴대폰을 손에 들고도 어디를 눌러야 할지 몰라 망설이던 어르신들이, 교육을 통해 음성을 문자로 바꿔 메시지를 보내고, 사진을 찍어 손주에게 전송하고, 설정 버튼을 눌러 글씨 크기를 키우는 법을 배우면서 점점 자신감을 되찾았다. 또 다른 어르신은 무인 키오스크 앞에서 늘 발길을 돌리곤 했는데, 교육을 받고 나서 이제 혼자서도 주문하고 결제할 수 있겠다며 자신감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셨다. 사실 처음 이 교육을 기획하게 된 계기도 어르신들에게 실시한 사전 설문조사의 결과 때문 이었는데, 교육 대상 중 상당수가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활용법에 대해 배우기를 희망하셨다. 비록 4~5주의 짧은 교육 일정이었지만, 그 기간 동안 어르신들에게는 단순한 기계 사용법 교육이 아니라 세상과 다시 이어지는 경험을 한 이 되었다.
AI 돌봄 서비스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다. 그러나 기술 발전만으로 복지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중요한 건 사람과 사람이 이어지는 연결이다.
누구도 뒤처지지 않도록 디지털 차이를 줄이고, 사람과 기술이 함께 힘을 모아 어르신들을 돕는 새로운 복지 방식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하지는 않을까?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