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조직기반 슈퍼비전 활용도구14] 슈퍼바이저의 자기개발을 위한 질문

  • 슈퍼비전
  • 슈퍼바이저
  • 자기개발
  • 최원희
  • 안정선
  • 조직기반
  • 최쌤안쌤

이번에 소개할 슈퍼비전 활용도구는 슈퍼바이저의 자기개발을 위한 질문지입니다.

 

# 새로운 슈퍼바이저가 되는 여정


슈퍼바이저가 되는 과정은 어떨까 생각해봅시다. Morrison(2009)은 대학교를 졸업하고 신규 사회복지사가 되는 과정을 담은 모델을 슈퍼비전에 적용하여 신규 슈퍼바이저가 되는 여정을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이 모델은 같은 팀에서 근무하다가 내부승진으로 슈퍼바이저가 되어 가는 과정을 이해할 때 유용하답니다

external_image



위 그림은 현재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 변화의 과도기를 거치면서 슈퍼바이저로서의 새로운 역할과 정체성을 갖추게 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슈퍼바이저가 되기 위한 첫 출발단계는, 다음 사항들에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 슈퍼비전 정책을 포함한 기관정책 수립(슈퍼바이저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슈퍼비전 제공의 의무화 규정)

- 슈퍼바이저의 자신감과 역할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 제공

- 슈퍼바이저로서의 혼란과 불안을 살펴보고 적절한 대처기술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슈퍼비전 제공

- 숙련된 슈퍼바이저가 신규 슈퍼바이저의 멘토가 될 수 있도록 연결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관의 상급자로부터 신규 슈퍼바이저가 된 중간관리자에게 경험과 기술 및 조언을 제공하는 슈퍼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관의 부장, 국장님 또는 관장님들의 역할이죠.

 

# 효과적인 슈퍼바이저로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것(서식첨부)


슈퍼바이저가 자신의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으려면 내적 또는 외적 지지기반을 개발하는데 노력해야 합니다. 다음은 효과적인 슈퍼바이저로 유지하고 개발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지지기반의 목록입니다. 이 목록을 활용하여 내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현재 존재하는 자원과 없는 자원은 무엇인지, 변화를 위해 무엇을 하고 누구에게 요구할 것인지, 필요한 것을 어떻게 알아챌 수 있는지 등에 대하여 생각해 봄으로써 나 자신이 슈퍼바이저로서 역할을 유지하거나 개발하기 위해 무엇을 활용해야 할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external_image


# 다음 칼럼에서는 지지기반 목록 중 나 자신에 대해 평가하기(피드백요청) 방법으로 슈퍼바이지의 슈퍼비전 피드백 질문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참고자료>

1. 최원희김은혜(2014). 슈퍼바이저를 위한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적용. 양서원.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