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최고은
- 2025-05-29
- 59
- 0
- 0
○ 슬라이드 1
반려동문의 상실과 치유
사회복지사릐 개입이 중요한 이유와 실천방법
글 / 김성호
○ 슬라이드 2
반려동물 양육인구 600만!(2023년 기준)
반려동물은 애완을 넘어 정서적 지지자이자
일상의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어요!
○ 슬라이드 3
하지만 우리 사회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충분히 애도할 수 있는 문화적, 제도적 기반이 부족해
많은 반려인들이 고립된 애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이들을 어떻게 도와야 할까요?
○ 슬라이드 4
펫로스 증후군
반려동물의 죽음으로 인한 우울함과 불안함을 비롯해
식사, 수면, 사회적 활동, 직업적 기능 수행의 저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해요
○ 슬라이드 5
반려동물과의 사별,
개인의 감정 문제가 아닌 사회복지 실천 대상인
삶의 상실 경험입니다!
구체적인 개입 방법 알아볼까요?
○ 슬라이드 6
실천적 개입 방법
- 슬픔의 정상화 :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이 정상적인 감정임을 확인함으로써
위로와 안정감을 얻을 수 있어요
- 기억 유지 작업 : 반려동물과의 추억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추억 정리는
슬픔을 구체화하도록 도와줍니다.
- 상징적 작별 의식 : 다양하고 간단한 의식을 통해 정서적 해소 및 상실을 마무리하고
삶의 흐름을 회복하게 해줍니다.
○ 슬라이드 7
치료적 접근 기법
미술치료. 드라마 치료, 거울 치료, 트라우마 치료, 집단 상담
○ 슬라이드 8
펫로스 증후군의 심각성과 의미를 이해하고 지지 하는 것!
사회복지사로서 반려인의 감정 회복과 건강한 삶의 재구성을 돕는 지름길입니다!
○ 슬라이드 9
이 카드뉴스의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공유복지플랫폼>지식공유>인문소양>복지속동물by김성호에서 확인해보세요!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