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반려동물 상실과 치유: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중요한 이유와 실천 방법 (글. 김성호)




○ 슬라이드 1

반려동문의 상실과 치유

사회복지사릐 개입이 중요한 이유와 실천방법

글 / 김성호


○ 슬라이드 2

반려동물 양육인구 600만!(2023년 기준)

반려동물은 애완을 넘어 정서적 지지자이자

일상의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어요!


○ 슬라이드 3

하지만 우리 사회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충분히 애도할 수 있는 문화적, 제도적 기반이 부족해

많은 반려인들이 고립된 애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이들을 어떻게 도와야 할까요?


○ 슬라이드 4

펫로스 증후군

반려동물의 죽음으로 인한 우울함과 불안함을 비롯해

식사, 수면, 사회적 활동, 직업적 기능 수행의 저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해요


○ 슬라이드 5

반려동물과의 사별,

개인의 감정 문제가 아닌 사회복지 실천 대상인

삶의 상실 경험입니다!

구체적인 개입 방법 알아볼까요?


○ 슬라이드 6

실천적 개입 방법

- 슬픔의 정상화 : 반려동물을 잃은 슬픔이 정상적인 감정임을 확인함으로써

위로와 안정감을 얻을 수 있어요

- 기억 유지 작업 : 반려동물과의 추억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추억 정리는

슬픔을 구체화하도록 도와줍니다.

- 상징적 작별 의식 : 다양하고 간단한 의식을 통해 정서적 해소 및 상실을 마무리하고

삶의 흐름을 회복하게 해줍니다.


○ 슬라이드 7

치료적 접근 기법

미술치료. 드라마 치료, 거울 치료, 트라우마 치료, 집단 상담


○ 슬라이드 8

펫로스 증후군의 심각성과 의미를 이해하고 지지 하는 것!

사회복지사로서 반려인의 감정 회복과 건강한 삶의 재구성을 돕는 지름길입니다!


○ 슬라이드 9

이 카드뉴스의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공유복지플랫폼>지식공유>인문소양>복지속동물by김성호에서 확인해보세요!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