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2025 상반기 공유복지살롱, 서로의 마음에 작은 숨을 건네다

  • 공유복지살롱
  • 서울복지재단
  • WISH
  • 사회복지
  • 복지
  • 복지살롱

이번 글에서는 4월, 5월, 6월 진행된 상반기 살롱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25년 상반기 살롱에서는 공유복지플랫폼이 위촉한 지식공유활동가 세 분이 연사로 함께해주셨는데요, 마음대로 노수현 대표님, 구슬 사회복지사사무소 김세진 구슬 소장님, 똑똑도서관 김승수 관장님이 각 회차별 주제에 따라 이야기를 나누고, 참여자들과 자유롭게 질의응답을 이어갔습니다. 


"복지살롱은 생각보다 편안하고 더 유쾌했습니다."

-공유복지살롱 참여자 후기-


세 번의 살롱은 지식공유활동가가 연사가 되어 주제에 대한 발언한 뒤, 현장에 있는 실무자들과 함께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지식공유활동가는 서울시복지재단이 위촉한 사회복지 및 유관 분야 전문가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노하우를 칼럼, 강연 등 다양한 콘텐츠 형태로 공유복지플랫폼을 통해 공유하고 있습니다.

external_image




4월 살롱 - 우리는 왜 이 일을 해야 하는가?

 


4월 공유복지살롱은 사회복지 실천의 의미와 동기를 참가자들과 함께 나눠보는 자리였습니다. 사회복지를 실천할 때는 자기에 대한 정체성이 혼란스러운 부분이 많은데, 그렇기에 우리는 왜 이 일을 하고 있을까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부터 시작했습니다.



"현장으로 돌아가 이 일을 내가 왜 할까? 에 대하여 스스로에게 질문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처음 내가 이 일을 어떤 마음으로 시작했는지, 왜 하고 있는지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 4월 살롱 참여자 후기 -


5월 살롱 - 소.진.심 (소진과 진심)

 


5월 공유복지살롱은 ‘소진’을 주제로 소진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세 가지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나누어졌습니다. 


1. 당사자와의 인격적인 교류가 있는가

2. 배우고 익힌 전문성이 실제 실천에 작동하는가

3.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공동체가 곁에 있는가 


소진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물리적인 현상이지만, 이 세 가지 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이마저도 경험과 자산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6월 살롱 - 상반기 살롱 후속 대화

 


6월 살롱은 4월, 5월 살롱 참가자들을 위한 후속 대화 모임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 생각났던 질문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요, 서로가 자신만의 답을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존 살롱에서는 서로 마이크를 잡고 질문을 주고받는 형태로 진행되었는데요, 6월 살롱부터는 패들렛을 도입하여 익명의 질문을 받는 형태로 진행방식을 변경했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 조금 더 편안하게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답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공유활동가에게 그동안 궁금했던 내용과 또 다른 실무자들과 함께 질문을 나누며 상반기 살롱을 마무리했습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3번의 공유복지살롱이 남긴 의미

 

결국, 상반기 공유복지살롱은 실무자들이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사회적 대화의 장’으로서 그 의미를 충분히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발화자와 참여자가 구분없이 한 자리에 모여 진심 어린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살롱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 중에 ‘혹시 자기소개를 해야 하나?’, ‘발표를 시키진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공유복지살롱은 모두가 마주보고 앉아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정해진 형식보다, 그날 모인 사람들과 나누는 대화가 중심이 되는 자리이니, 부담 없이 참여해주세요:)


복지 현장에서 마주한 고민과 감정을 다른 이와 함께 나누고 싶다면, 공유복지살롱에서 만나보는 건 어떨까요?


다음은 7월 살롱 이야기로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