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상식 By 이용교
- 2025-06-28
- 380
- 0
- 0
[이용교 교수 복지상식]-492
장기요양등급 유효기간이 연장된다
이용교
(광주대학교 교수, 복지평론가)
장기요양수급자의 장기요양등급 갱신 유효기간이 기존 2년(갱신 후 동일 등급이면 1등급 4년, 2~4등급 3년)에서 1등급은 5년, 2~4등급은 4년으로 연장된다.
<갱신주기는 1등급 5년까지 연장된다>
보건복지부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장기요양등급 갱신 유효기간을 1등급은 5년, 2~4등급은 4년으로 연장하는 것을 골자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이번 개정은 서류 제출, 방문 조사 등 갱신 절차의 반복에 따른 장기요양수급자와 가족의 불편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이전에 갱신을 마친 현 1~4등급 수급자는 모두 갱신 직전의 등급과 무관하게 현행 등급에 따라 최대 1~3년까지 등급 유효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이는 장기요양수급자와 보호자의 갱신 유효기간 연장 희망을 반영한 것이다. 2023년 11월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92%가 ‘갱신 유효기간 연장’을 선택했다. 현 유효기간에 따른 갱신시 대상자의 75%가 등급 변동이 없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이번 개정은 장기요양 갱신제도의 유효성을 유지하면서도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갱신 유효기간 연장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일괄 반영할 예정으로 수급자의 별도 신청은 필요하지 않는다. 궁금한 수급자는 변동된 등급 유효기간을 노인장기요양보험 누리집과 모바일 앱, 정부24 누리집, 개별 우편 발송될 안내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모든 국민을 위한 제도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사회보험제도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건강보험제도와는 별개이고 건강보험공단이 관리·운영한다. 이는 65세 이상 노인과 65세 미만이라도 노인성 질환으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사람이 복지급여를 받기에 ‘노인을 위한 제도’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의료급여 수급자를 제외한 모든 국민은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보험료를 내거나 보험료를 내는 사람의 가족이기에 모든 국민을 위한 제도이다. 노인장기보험이 적용되지 않았을 때 노인을 돌보는 사람은 자녀인 경우가 많았기에 이 보험은 주로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그 자녀의 돌봄 부담을 덜어준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노인을 위한 제도이면서, 중년층과 아동·청소년을 위한 제도이기도 하다.
<사회보험을 근간으로 세금이 투입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사회보험방식을 근간으로 하면서 일부는 공공부조방식을 가미한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국민건강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건강보험가입자는 건강보험료와 별도로 장기요양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건강보험가입자의 장기요양보험료 산식은 2025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액x장기요양보험료율(0.9182%)÷건강보험료율(7.09%)’이다. 월소득이 400만 원인 직장인이 내는 건강보험료는 ‘월소득x건강보험료율(7.09%)’인 283,600원이고 그중 절반인 141,800원을 본인이 내고 나머지를 사용자가 부담한다. 도시자영자는 건강보험료의 전액을 본인이 내고, 농어민은 본인이 일부 내고 정부로부터 일부 지원받는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료는 ‘건강보험료액x12.95%’이다. 월소득이 400만 원인 직장인은 건강보험료 283,600원의 12.95%인 36,726원을 노인장기요양보험료로 납부한다. 그중 절반은 본인이 내고 나머지 절반은 사용자가 부담한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장기요양보험료 예상수입액의 20%와 공공부조의 적용을 받는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장기요양급여 비용을 부담한다.
<장기요양인정을 받아야 급여를 받는다>
장기요양보험제도는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서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중 6개월 이상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자를 그 수급대상자로 한다. 여기에는 65세 미만자 중 노인성 질병이 없는 일반적인 장애인은 제외된다.
건강보험은 피보험자와 그 가족이 요양급여 등을 받고 싶으면 요양취급기관인 의원·병원 등에서 진료를 받으면 된다. 하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사전에 장기요양인정을 받아야 활용할 수 있다. 노인이 원하면 요양병원에 입원할 수 있지만, 요양시설에 입소하려면 장기요양인정을 받아야 한다.
장기요양보험 가입자와 그 피부양자 혹은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일정한 절차에 따라 장기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수급권)가 부여되는데 이를 장기요양인정이라고 한다. 장기요양인정 절차는 먼저 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인정신청으로부터 출발하여 공단 직원의 방문에 의한 인정조사와 등급판정위원회의 등급판정 그리고 장기요양인정서와 개인별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작성과 송부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모든 국민은 만 65세 이상 또는 만 65세 미만으로 노인성 질병(치매, 뇌혈관성 질환, 파킨슨 병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질병)을 가진 자이면 건강보험공단 지사(노인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에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할 수 있다. 신청방법은 공단에 방문, 우편, 팩스, 인터넷, The건강보험 앱을 통해 할 수 있다. 다만, 65세 미만자와 외국인은 인터넷, 앱을 통한 신청은 불가능하다.
신청은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 친족 또는 이해관계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치매안심센터의 장(신청인이 치매환자인 경우에 한정),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정하는 자인 대리인도 신청할 수 있다.
본인이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분증이 필요하고 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에는 가족, 친족 또는 이해관계인의 신분증 등이 필요하다. 제출서류는 장기요양인정신청서(공단 지사 또는 누리집에 접속하여 알림·자료실>서식자료실>게시물-[별지 제1호의2 서식] 장기요양인정신청서를 내려받음), 의사소견서(장기요양인정신청서와 함께 제출하여야 하나, 65세 이상은 등급판정위원회에 심의자료 제출 전까지 제출 가능) 등이다.
<갱신신청은 유선 신청도 가능하다>
장기요양 신청의 종류는 인정신청, 갱신신청, 등급변경신청, 급여종류·내용변경신청 등이 있다. 인정신청은 장기요양인정신청을 처음하는 경우이고, 갱신신청은 장기요양인정 유효기간 종료가 예정되어 유효기간 만료 다음날부터 장기요양인정을 희망하는 경우이다. 이는 장기요양인정 유효기간 종료 90일 전부터 30일 전에 장기요양인정갱신신청사와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면 된다. 갱신신청은 통화자의 신분확인 절차를 거쳐 유선 신청도 가능하다.
또한 등급변경신청은 장기요양급여를 받는 동안 신체적·정신적 상태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 하고, 급여종류·내용변경신청은 급여종류·내용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에 하면 된다. 법정 갱신주기가 도래하기 전이라도 개별 심신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 등급변경신청을 할 수 있다. 장기요양급여는 자격이나 조건이 되면 자동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본인 혹은 대리인(흔히 가족)이 공단 지사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http://www.longtermcare.or.kr
이용교<광주대학교 교수, 복지평론가> ewelfare@hanmail.net
[2025/07/03]
[Common sense for the welfare of Professor Lee Yong-kyo]-492 (contributed to Dream Today, July 3, 2025)
The validity period of long-term care is extended
Lee Yong Gyo
(Professor Gwangju University, welfare critic)
The validity period for long-term care recipients to renew their long-term care level will be extended from two years (four years for grade 1 and three years for grades 2-4) to five years for grade 1 and four for grades 2-4.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vise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Act with the aim of extending the validity period of long-term care insurance to five years for the first grade and four years for the second to fourth grades. The revision is a measur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long-term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due to repeated renewal procedures such as document submission and door-to-door surveys, and all current first to fourth-grade recipients who have previously renewed will have a maximum of one to three years of validity depending on the current grade, regardless of the grade just before renewal.
This reflects the wishes of long-term care recipients and guardians to extend the renewal validity period. According to a survey in November 2023, about 92% of respondents chose to extend the renewal validity period. When renewing according to the current validity period, 75% of the subjects considered comprehensively that there was no change in grade. This revision is aimed at minimizing public inconvenience while mainta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ong-term care renewal system.
The extension of the renewal validity period will be collectively reflected throug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o a separate application from the recipient is not required. Curious recipients can check the changed class validity period through the Senior Long-Term Care Insurance website, mobile app, government 24 website, and notices to be sent individually.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by providing long-term care benefits such as physical or domestic support to the elderly who are unable to perform their daily lives alone due to old age or senile disease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s separate from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nd is managed and operated by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is tends to be recognized only as a 'system for the elderly' because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and those who are unable to live their daily lives due to senile diseases even under the age of 65 receive welfare benefits. However, it is a system for all citizens because all citizens except recipients of medical benefits are families of those who pay insurance premiums or pay insurance premiums for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When long-term elderly insurance is not applied, it is often children who take care of the elderly, so this insurance mainly provides services to the elderly and relieves the burden of caring for those children. Therefor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a system for the elderly and also for the middle-aged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based on the social insurance method, and some are designed in a form that adds to the public assistance method.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who are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must pay long-term care insurance premiums separately from health insurance premiums.
The formula for long-term care insurance premiums for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is "health insurance premium amount x long-term care insurance premium rate (0.9182%) ÷ health insurance premium rate (7.09%)" as of 2025. The health insurance premium paid by an office worker with a monthly income of 4 million won is 283,600 won, which is the "monthly income x health insurance premium rate (7.09 percent), and half of it, 141,800 won, is paid by himself and the user pays the rest. Urban self-employed people pay the full amount of health insurance premiums, and farmers and fishermen pay part of themselves and receive som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premium fo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health insurance premium x 12.95%. Office workers with a monthly income of 4 million won pay 36,726 won, 12.95% of the 283,600 won health insurance premium, as long-term care insurance premiums for the elderly. Half of that is paid by the person himself and the other half is pai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ear 20% of the estimated income of long-term care insurance premiums and the cost of long-term care benefits for medical benefit recipients covered by public assistance every year.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 person who is deemed difficult to perform daily life alone for at least six months among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5 or those under the age of 65 with geriatric diseases such as dementia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shall be eligible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is excludes persons with general disabilities who do not have geriatric diseases among those under the age of 65.
If the insured and his or her family want to receive medical care benefits, etc., health insurance can be treated at clinics or hospitals, which are nursing care handling institutions. Howeve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can be used only after obtaining long-term care recognition in advance. If the elderly want, they can be admitted to a nursing hospital, but to enter a nursing facility, they must obtain long-term care recognition.
Long-term care insurance subscribers and their dependents or beneficiaries of medical benefits are granted the right to receive long-term care benefits (right to receive benefits) in accordance with certain procedures, which is called long-term care recognition. The long-term care recognition procedure consists of an application for long-term care recognition to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 recognition survey by visiting employees of the public corporation, a grade judgment by the rating determination committee, and preparation and sending of a long-term care recognition certificate and an individual long-term care use plan.
All citizens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apply for long-term care recognition at the branch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nior long-term care insurance operation center) if they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or under the age of 65 and have senile diseases (diseas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such as dementia, cerebrovascular disease, Parkinson's disease, etc.). You can apply by visiting the public corporation, mail, fax, Internet, and The Health Insurance app. However, those under the age of 65 and foreigners cannot apply through the Internet or apps.
Applications can be made not only by the person himself, but also by his/her family, relatives or stakeholders, social welfare officials, heads of dementia safety centers (limited to cases where the applicant is a dementia patient), and persons designated by the head of the Si/Gun/Gu.
In the case of the principal's application, an identification card is required, and in the case of an agent's application, the identification card of a family member, relative, or interested person is required. Documents submitted include an application for recognition of long-term care (notification/research room>form room> by accessing the Governor of the Industrial Complex or the website) - (downloading an application for recognition of long-term care (attached Form 1-2), and a medical opinion (which must be submitted together with an application for recognition of long-term care, but over 65 years of age may be submitted before submitting deliberation data to the rating committee).
Types of long-term care applications include applications for recognition, renewal, grade change, and salary type and content change. The application for recognition is the first time to apply for long-term care recognition, and the application for renewal is a case in which long-term care recognition is desired from the day after the expiration of the validity period because the expiration of the long-term care recognition period is scheduled. This means that you can submit a doctor's note with the Long-Term Care Recognition Renewal Office from 90 days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long-term care recognition validity period. Renewal applications can also be applied by wire through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the caller.
In addition, applications for grade change shall be made where there is a change in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while receiving long-term care benefits, and applications for changes in the type and content of benefits may be made where they wish to change the type and content of benefits. An application for grade change may be made if there is a change in individual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s even before the statutory renewal cycle arrives. Long-term care benefits can be received only when the person or his/her agent (often his/her family) applies to the Governor of the Corporation, rather than automatically receiving them when they are eligible or under conditions.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http://www.longtermcare.or.kr
Lee Yong-gyo
[2025/07/03]
Translation into Papago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