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속동물 By 김성호
- 2021-12-05
- 1299
- 0
- 0
안녕하세요. 이번 주제는 지난 글에서 소개한 LINK 이론을 좀 더 구체화한 것으로 동물학대와 가정폭력의 관계, 혹은 동물을 매개로 한 가정폭력의 양상에 대한 것입니다.
1977년 가정폭력의 피해자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경험을 바탕으로 덜 루스가 제시한 Power and Control Wheel(힘과 통제의 바퀴) 모델은 학대 및 폭력적인 행동의 전반적인 패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학대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경험하는 가장 일반적인 행동 중 일부에 대한 간결한 다이어그램을 제공합니다. 신체적, 성적 폭행 등 물리적 폭행뿐만 아니라 폭력을 저지르겠다는 위협이나 암시도 명백한 가정 폭력의 형태이며 가해자가 파트너의 주변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확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입니다.
사진설명: 덜루스의 Power and Control Wheel 다이어그램
최근까지 동물 학대와 가정 폭력은 서로 다른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고 취급되어 주로 동물학대는 동물보호 단체의 업무로 취급되고 가정폭력은 복지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처리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동물 학대는 가정 폭력에서 다른 사람을 조종하고 위협하고 보복하는 데 사용되는 권력과 통제의 한 형태입니다.
아동학대, 노인학대, 파트너 폭력 등 다양한 유형의 가정폭력 사건에서 학대행위자는 동물을 위협, 학대, 혹은 죽임으로써 피해자들을 위협하고 권력을 행사합니다. 또한 학대 행위자가 피해자들을 통제하고 폭력적인 관계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동물을 학대합니다. 가정폭력의 희생자들이 사랑하는 반려동물에게 해를 가하거나 죽임으로써 그들이 유일하게 위안과 정서적 지원을 받는 원천을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으론 희생자들은 학대행위자로부터 더 심한 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 혹은 학대자에 대한 적대감을 다른 방법으로 돌리기 위해서 스스로 동물을 학대하기도 합니다.
가정폭력의 현장에서 많은 전문가들은 동물학대가 파트너 폭력의 다양한 역동속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동물학대가 파트너 폭력이나 아동학대로 발전하는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The National Link Coalition은 이러한 사례와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Duluth의 Power and Control Wheel을 모방한 아래의 The "Power and Control Wheel" of Animal Abuse and Domestic Violence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사진설명: 동물학대와 가정폭력의 힘과 통제의 수레바퀴 모델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모델의 각 항목을 번역했습니다.
Isolation: refusing to allow her to take her pet to her vet. Prohibiting her from socializing her dog with other dogs.
격리: 반려동물을 동물병원에 데려가는 것을 금지합니다. 파트너가 자신의 반려동물이 다른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Threats: to harm or kill her pet if she leaves or asserts any independence.
위협: 파트너가 집을 나가거나 이혼 등 독립을 주장하는 경우 반려동물을 해치거나 죽입니다.
Legal abuse: custody battles over pets. Filling theft charges if she leaves with her pet.
법적 학대: 반려동물에 양육권에 대한 법적 다툼을 벌이거나, 파트너가 반려동물을 데리고 집을 떠날 경우 절도 혐의를 적용합니다.
Denying & Blaming: Blaming her or the pet for his cruelty. Killing the pet and saying it didn't matter because the pet was old.
부정 및 비난: 파트너나 반려동물 때문에 자신이 잔인한 행위를 저질렀다고 비난하며 책임을 전가합니다. 반려동물을 나서 반려동물이 늙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아니라고 변명하기도 합니다.
Emotional Abuse: Disappearing, giving away or killing pets to take away her source of unconditional love. Force participation in animal sexual abuse.
감정적 학대: 반려동물을 유기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넘기거나, 죽임으로서 반려동물이 피해자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제공하는 것을 막습니다. 심지어는 반려동물을 성적으로 학대하는 것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게 합니다.
Economic Abuse: Refusing to allow her to spend money on pet food or vet care.
경제적 학대: 반려동물 사료나 병원 진료에 돈을 쓰는 것을 금지합니다.
Intimidation: Harming or killing pet/ "Next time it'll be you..." Targeting pets of family/friend who aid her escape.
협박: 반려동물을 해치거나 죽이고 난 다음 "다음에는 당신 차례가 될 수도 ..." 있음을 암시합니다. 피해자의 탈출을 도와주는 가족이나 친구의 반려동물을 위협하거나 해치기도 합니다.
Using Children: Harming/killing children's pets to intimidate them. Blaming the "disappearance" of the family pet on her to create a wedge between her and the children
자녀 이용: 자녀의 반려동물을 위협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해치거나 죽입니다. 파트너와 자녀들 사이를 갈라놓기 위해 반려동물의 실종에 대해 파트너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비난합니다.
가정 내 발생하는 동물 학대는 종종 "빙산의 일각"이며 위험에 처한 개인이나 가족에게 나타나는 첫 번째 경고 신호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가정 폭력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관련된 기관이 서로 소통하고, 보고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동물을 학대하면 사람들이 위험에 처하고, 사람이 학대를 받으면 동물이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동물학대와 아동학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