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똑똑!한 사람 By 김승수
- 2025-10-31
- 4
- 0
- 0
복지 문제를 해결에 필요한 6가지 관점
김승수(똑똑도서관 관장)
힐러리코텀은 레디컬헬프에서 “사회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한 탐색은 당사자들의 참여와 전문가 및 지역사회 이웃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 자발적 참여는 문제와 상황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기초로 한 관계 형성의 기초가 된다.”고 말했다. 이는 문제해결은 특정 전문집단의 노력만으로만이 아닌 당사자와 그를 둘러싼 환경이 함께 노력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지문제 해결에 6가지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삶에 대한 인식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당사자 스스로 삶의 목적의식을 찾아야 한다. 당사자의 욕구 파악과 사정을 하는게 먼저가 아니다. 대화를 통해 당사자에게 질문을 통한 스스로의 요구와 욕구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당사자에게 묻는 것부터 시작할 수 있다.
-당사자에게 좋은 삶은 무엇인가?
-삶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내 삶의 중요한 동기는 무엇이 있는가?
전문가와의 사정이 아닌 대화가 필요하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스스로 살고 싶은 삶의 모습을 물어보는 것이 첫번째 질문이 되어야 하며, 스스로 삶을 돌보며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근거로 당사자 스스로 성장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내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역량강화
사회사업가는 당사자의 위기와 문제를 통제하고 관리하는데 집중하지 말고 당사자의 역량강화에 신경을 써야 한다. 복지의존도를 높이지 않고, 프로그램과 서비스에서 대상화 하지 말아야 한다. 서비스는 마지막 보루가 되어야 한다. 첫 번 째 질문에 근거한 스스로의 행복한 삶을 위한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일과학습, 건강과 활력, 공동체활동을 통한 이웃과의 관계에 대해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아래의 질문으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내가 성장하기 위해서 정말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나는 살면서 어떤 변화와 성장을 할 수 있을까?
-나는 공동체 안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셋째. 가능성의 창조
복지의 목적이 위험에 초점을 두고 위험을 관리하여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을 감수하면서 좋은 삶을 살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살아갈 방법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상자가 복지에 의존하지 않게, 자립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절대로 변화하지 않는 것은 없다. 학습된 무기력에 빠져 의존하게 만들지 말고 능동적 상상을 하게 하여 가능한 활동으로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넷째. 관계가 최우선이고, 이웃과의 관계와 연결
다른 사람과의 유대관계가 없다면 또는 건강하지 못한 관계 속에서라면 누구도 성취감을 느끼거나 제기능을 하긴 어렵다. 타인과의 넓은 관계가 기회와 성장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 관계의 구축과 자기개방이 되기 위해 필요한 단순하고 쉬우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시간을 내서라도 공동체에 참여해야하고,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봐야한다.
다섯째. 다양한 자원을 연결하기
누가 도움 받는 이고, 누가 도움을 주는 이인지의 경계를 흐리게 해야 한다. 한 사람이 올 때는 그의 관계와 지식, 시간, 기술, 그리고 때로는 그들의 소유물로 함께 따라올 수 있다. 편협한 재정에 초점을 두거나 희소성의 문화를 뒤집어 풍요로운 것들에 집중해야 한다. 공동체에 살고 있는 음악가, 미술인, 건축가, 운동인 등 모든 인적자원의 가능성을 찾아야 한다. 또한 이용가능한 물적자원인 도서관, 공공시설등에 대한 관심도 두어야 한다.
마지막, 모두를 돌보는 개방성
모든 사람들을 포용할 뿐만 아니 라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들도 돌볼 수 있는 새로운 복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유의 문화를 창조함으로써 더 다양한 돌봄이 생겨날 수 있게 된다. 변화의 작업은 혼자 할 수 없다. 지지와 격려와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결국, 모든 사람의 역량이 성장하고 우리 모두가 서로를 돌보게 된다. 역할이나 지위구분은 없어야 한다.
 
					 
					 
  
					 
  
					 
			 
		



댓글
댓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