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칼럼큐레이션20. '최고관리자' 사회복지사를 위한 위시자료 모음집

  • 최고관리자
  • 비전
  • 리더십
  • 조직문화
  • 경영철학

사회복지 조직의 최고관리자는 의사결정자, 운영자의 역할과 더불어

비전을 제시하고 철학을 실천하며 조직과 사람의 성장을 이끄는 리더입니다.


현장의 맥락을 읽고, 구성원의 신뢰를 얻으며,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최고관리자의 역할은 점점 더 복합적이고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큐레이션은 [비전과 혁신], [리더십], [조직문화와 신뢰], [경영철학]을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글들은 '경영'을 넘어 '실천'과 '사람'에 중심을 두고 고민하는 최고관리자분들께 

좋은 인사이트를 드릴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각 칼럼의 핵심 메시지를 한 문장으로 정리했으니, 

관심 있는 주제를 클릭해 원문에서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관심 있는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원문으로 넘어갑니다*



[비전과 혁신]


미션과 비전의 무용론과 전략과 과업의 실용론(조직과 구성원의 마주보기 2nd) (숭근배, 2024.03.12.)

- 비전은 문제를 언제까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이며, 조직 목적(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목표와 전략이 필수입니다. 



[리더십]


복지 현장, '집합지성형' 조직이 가능할까? (정병오, 2022.11.30.)

- 단일 위계 구조가 아닌, '집합지성형'으로 설명되는 참여적·분권적 리더십이 추세이며,  “협력, 신뢰, 공유, 개방” 등 새로운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비영리조직 리더십8. 일할 맛 (노수현, 2024.09.22.)

- 최고관리자의 메시지 전달이나 문서화 이전에, 현장에 맞는 위치 선정 및 직접적 소통이 경영의 본질임을 강조합니다.



[조직문화와 신뢰]


#004 조직 문화 감수성이 부족하면 사람은 떠나기 마련이다 (고진선, 2022.04.12.)

조직 문화 감수성이 높은 조직은 기본적으로 신뢰가 높게 나타납니다. 


직원 소통함, 설치만 해서는 소용없다 (김용길, 2025.05.08.)

- 직원 의견을 경청할 수 있는 실질적 소통 구조와 즉각적 피드백이 조직 신뢰를 높입니다.



[경영철학]


우리는 어떤 관점으로 일하는가? (김승수, 2025.03.31.)

- 클라이언트와의 ‘with’(함께) 일하는 태도와 현상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대안의 제시, 제도의 변화를 제안합니다. 


현장에서 ‘임파워먼트’는 다 어디로 갔나요? (정병오, 2022.09.30.)

- 임파워먼트는 단순 개념이 아닌, 현장이 주체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하도록 지원하는 경영철학입니다.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