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본문

[이용교 복지상식]-498. 전국에 맞춤형 특화주택을 공급한다.

  • 이용교
  • 복지상식
  • 복지이슈
  • 복지뉴스
  • 주택
  • 주거

[이용교 교수 복지상식]-498(드림투데이 20250814일 기고)

 

전국에 맞춤형 특화주택을 공급한다

 

이용교

(광주대학교 교수, 복지평론가)

 

정부는 특화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에 특화주택 1786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특화주택에는 고령자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등이 있다.

 

<14곳에 총 1786가구 특화주택을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에 총 1786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올해 4월부터 2개월간 공모사업을 진행해 고령자복지주택 368가구(4),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159가구(3), 청년특화주택 176가구(3),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083가구(4) 등 총 1786가구를 선정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광명·동두천·부천·포천, 강원 삼척, 전북 고창·부안, 울산, 제주 서귀포 등 총 14곳이다. 특화주택은 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등 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거주공간과 함께 사회복지시설, 돌봄공간, 공유오피스 등 다양한 지원시설도 공급하고 있어 입주자의 만족도가 높다.

특히 2024년 하반기부터 도입한 지역제안형 유형은 지역 여건에 맞는 입주요건 등을 지방자치단체가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지자체의 관심이 높고 이번 공모에도 가장 많은 물량이 제안됐다. 이번 공모는 제안발표와 평가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선정했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이 가장 많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경기도 부천시, 경기도 동두천시, 경기도 포천시, 강원도 삼척시에 총 1083가구로 추진된다. 경기도 부천시에는 부천대장 3기 신도시 내에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함께 입주해 세대 간 돌봄이 가능한 특화주택을 741가구로 추진한다. 3기 신도시에 도입한 주거·공공시설·상업 등 복합개발하는 공공복합용지에 중산층까지 입주대상을 넓힌 공공임대 주택을 공급하는 첫 번째 사례가 될 예정이다.

경기도 동두천시에는 지역 청년층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해 청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210가구로 추진한다. 이 주택은 입지가 우수한 지행역 인근에 들어선다.

강원도 삼척시에는 지역 대표 직업군인 탄광근로자와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 재학생 등을 위해 100가구로 추진한다. 멘토링, 심리상담 등 세대 간 교류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경기도 포천시에는 원거리 출·퇴근 중인 청년 군무원을 위해 32가구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지역 정주인구 확보와 안정적 근무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령자복지주택도 계속 건립된다>

고령자복지주택은 울산광역시(2214가구), 경기도 부천시(100가구), 제주특별자치도(54가구)에 총 368가구로 추진된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으로 안전손잡이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어르신들의 건강과 여가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시설도 설치해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누릴 수 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실버타운으로 불리는 노인복지주택과 달리 만 65세 이상 고령자가 시세의 30% 이하 저렴하게(월 임대료는 5~10만 원, 관리비 포함시 월 15만 원 내외) 살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이다. 단지 안에 물리치료실, 식당, 프로그램실, 커뮤니티 공간 등 복지시설이 있고, 입주자가 생활·건강·안전·여가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65(지역에 따라 60) 이상 무주택자는 신청할 수 있지만, 신청자가 많기에 소득수준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1인가구 기준 약 280만 원) 이하로 제한한다. 또한, 자동차, 금융자산 등 자산 총액도 일정 수준 이하에게 개방한다. 이 주택은 입주시 독립생활이 가능한 사람만 입주할 수 있다. 치매, 중증질환자 등 일상생활이 어려운 사람은 노인요양시설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고령자복지주택은 고령자의 이동편의를 위해 무장애 설계가 강화되었다. 미끄럼 방지 바닥재, 넓은 출입문, 안전 손잡이 설치는 기본이고, 휠체어 회전이 가능한 넓은 실내, 비상호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공용공간에 온열기, 환풍기, 냉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청년층을 위해 청년특화주택을 건립한다>

청년특화주택은 전북 부안군, 전북 고창군, 울산광역시에 총 176가구로 추진된다.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저렴한 임대료로 계절창고, 휴게공간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울산광역시에는 사업 예정지인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인근에 위치한 울산대학교 재학생 등을 위해 36가구로 추진한다. 공유거실, 공유주방, 공유오피스, 계절창고 등 특화시설도 지원한다. 청년층의 지속적 감소로 인해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전북 고창군 및 부안군에는 청년 인구 유입과 정착 유도,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각 40가구, 100가구로 추진한다.

청년특화주택은 단순히 저렴한 방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청년의 자립을 돕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기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청년특화주택에는 교통이 편리한 도심에 공공·민간 호합형으로 공급하는 역세권 청년주택이 따로 있다.

 

<직주 근접성을 갖춘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을 짓는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경기도 광명시와 울산광역시에 총 159가구로 추진된다. 청년 창업가, 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직주 근접성을 확보하며, 창업센터와 공동 업무공간 등 다양한 지원시설을 제공해 경제적 활동과 주거 안정을 동시에 지원한다.

울산광역시에는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온산국가산단 근로자의 주거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36호로 추진한다. 후보지 인근에 행정복지센터, 온산문화체육센터도 위치하여 생활 여건도 우수하다.

경기도 광명시에는 내년에 준공 예정인 광명시흥 일반산업단지와 광명시흥 도시첨단산업단지 근로자 등을 위해 지난 20205월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 내에 총 123가구로 추진한다.

 

<이렇게 하면 특화주택에 입주할 수 있다>

최근 국토부가 발표한 특화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해당 지자체가 건립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다. 기존 특화주택은 전국에 건립되어 있기에 입주를 원하는 사람은 LH청약센터 또는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공고를 확인하기 바란다. 입주자 모집은 연간 1~2회 정기공급과 수시모집이 있다.

입주를 원하는 사람은 청약센터에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고, 해당 지자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접수할 수도 있다. 제출서류는 신청서, 무주택 증빙, 소득증빙 자료 등이다. 입주 물량에 비교하여 신청자가 많은 경향이 있기에 고령자복지주택은 소득이 낮은 순, 고령자 순, 장애여부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청년특화주택은 만 19~39세 청년이 본인과 세대원이 모두 무주택자이고, 가구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이며 총자산이 약 3.17억 원 이하, 자동차는 3,558만 원 이하일 때 신청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해당 주택의 공고문에 따른다. 신청자가 적으면 기준이 완화될 수도 있다.

 

이용교<광주대학교 교수, 복지평론가> ewelfare@hanmail.net

[2025/08/14]

 

 

 

[Common sense for the welfare of Professor Lee Yong Gyo] -498 (contributed to Dream Today, August 14, 2025)

 

We provide customized specialized housing throughout the country

 

Lee Yong Gyo

(Professor, welfare critic, Gwangju University)

 

The government decided to supply 1,786 households of specialized housing to 14 locations nationwide through the specialized housing public offering project. Specialized housing includes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youth specialized housing, job-linked support housing, and local proposed specialized housing.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decided to supply a total of 1,786 households to 14 locations nationwide through a public offering project for specialized housing in the first half of 2025. The ministry has selected a total of 1,786 households, including 368 welfare housing units for senior citizens (4 places), 159 job-linked support housing (3 places), 176 youth-specific housing (3 places), and 1,083 community-proposed special housing (4 places).

By region, there are a total of 14 places, including Gwangmyeong, Dongducheon, Bucheon, Pocheon, Gangwon, Samcheok, Gangwon, Gochang and Buan, Jeollabuk-do, Ulsan, and Seogwipo, Jeju. Specialized housing is highly satisfactory to tenants as it supplies various support facilities such as social welfare facilities, care spaces, and shared offices along with living spaces to certain consumers such as young people, the elderly, and newlyweds.

In particular, the regional proposal type, which was introduced from the second half of 2024, is highly interested in local governments as local governments can freely design occupancy requirements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and the largest volume was proposed for this contest. The contest was selected after presentation of proposals and review by the evaluation committee.

 

A total of 1,083 households will be promoted in Bucheon-si, Gyeonggi-do, Dongducheon-si, Gyeonggi-do, Pocheon-si, Gyeonggi-do, and Samcheok-si, Gangwon-do. In Bucheon-si, Gyeonggi-do, 741 households will be promoted as specialized housing that can be cared for between generations by moving in together with parents and children's generations within the 3rd new city of Bucheon-si. It will be the first case of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that has expanded the target of moving into the middle class to public complex sites such as housing, public facilities, and commerce introduced in the 3rd new city.

In Dongducheon-si, Gyeonggi-do, 210 households will be promoted for young people and newlyweds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local youth population. The house will be located near the well-located Jihaeng Station.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100 households will be promoted for coal mine workers and students enrolled in the Dogye Campu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t will also run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s such as mentor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 Pocheon-si, Gyeonggi-do, 32 households will be promoted for young military personnel who are commuting from long distanc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local resident population and creating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will be promoted with a total of 368 households in Ulsan Metropolitan City (214 households), Bucheon City (100 households) in Gyeonggi Province,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54 households). For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rental housing with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weak, such as safety handles, is provided,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also installed to support the health and leisure of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enjoy housing and welfare services together.

Unlike the elderly welfare housing called Silver Town, the elderly welfare housing is a public rental housing that allows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to buy less than 30% of the market price (monthly rent is between 50,000 won and 100,000 won, including management fees). There are welfare facilities such as physical therapy rooms, restaurants, program rooms, and community spaces in the complex, and tenants can receive integrated support for living, health, safety and leisure welfare services.

Homeless people aged 65 (depending on the region, 60 years old) or older can apply, but since there are many applicants, the income level is limited to 70% or less of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urban workers (about 2.8 million wo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assets such as automobiles and financial assets is open to below a certain level. Only those who can live independently can move in this house. People with difficulty in daily life, such as dementia and severely ill patients, will have to use elderly care facilities.

The barrier-free design of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has been reinforced for the convenience of movement. Non-slip flooring, wide doors, and safety handles are basic, and a wide indoor space capable of rotating wheelchairs, and an emergency call system are installed. A heater, a ventilation fan, and an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in the common space.

 

Specialized youth housing will be promoted with a total of 176 households in Buan-gun, Jeollabuk-do, Gochang-gun, and Ulsan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stabilize the housing of young people, it provides specialized services preferred by young people such as seasonal warehouses and rest areas at low rent.

In Ulsan Metropolitan City, 36 households will be promoted for Ulsan University students located near Gulhwa-ri, Beomseo-eup, Ulju-gun, where the project is scheduled. Specialized facilities such as shared living rooms, shared kitchens, shared offices, and seasonal warehouses are also supported. Gochang and Buan-gun, Jeollabuk-do, which are facing the crisis of population extinction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number of young people, will be promoted to 40 households and 100 households, respectively, to induce youth population and settlement,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Youth-specialized housing aims not to simply provide "cheap rooms," but to provide a base space for young people to help them become independent and design their future. In youth-specialized housing, there is a separate "reverse area youth housing" that is supplied in a public and private way in the city center where transportation is convenient.

 

Job-linked support housing will be promoted with a total of 159 households in Gwangmyeong-si and Ulsan-si, Gyeonggi-do. It secures the proximity of workers to work for young entrepreneurs and SME workers, and provides various support facilities such as start-up centers and joint work spaces to support economic activities and housing stability at the same time.

In Ulsan Metropolitan City, it is promoted to No. 36 to improve the residential conditions of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orkers located in Onsan-eup, Ulju-gun.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Onsan Culture and Sports center are also located near the candidate site, so living conditions are excellent.

In Gwangmyeong-si, Gyeonggi-do, a total of 123 households will be promoted in Gwangmyeong Hak-on Public Housing District, which was designated as a public housing district in May 2020, for workers at Gwangmyeong Siheung General Industrial Complex and Gwangmyeong Siheung Urban Advanced Industrial Complex, which are scheduled to be completed next year.

 

The specialized housing recentl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ll take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for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and the local government to build it. Existing specialized houses are built across the country, so those who want to move in should check the announcement on the LH subion center or the local government's website. Recruitment of tenants includes regular supply once or twice a year and occasional recruitment.

Those who wish to move in may apply online at the subion center, or may visit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to apply. Documents submitted include applications, evidence of homelessness, and income evidence data. Since there are many applicants compared to the amount of occupancy,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is prioritized in consideration of the order of low income, the order of the elderly,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disabilities.

Specialized housing for young people aged 19 to 39 can be applied when both they and their household members are homeless, household income is less than 100% of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urban workers in the previous year, total assets are less than 317 billion won, and automobiles are less than 35.58 million won. Details are subject to the notice of the house. The criteria may be relaxed if there are few applicants.

 

Lee Yong-gyo ewelfare@hanmail.net

[2025/08/14]

 


Translation into Papago

댓글

댓글

댓글 0